목록전체 글 (439)
FILife
윈도우10 2004 업데이트가와 함께 WSL도 업데이트가 되었다. 처음에는 /mnt/d/projects 디렉토리를 mount하여 document_root 로 사용했으나, 찾아보니 /mnt 내에 위치한 파일은 제 속도가 나오지 않는다고 한다. /home 안에 새로 디렉토리를 만들었는데, 탐색기에서 접근할 방법이 막막했다. \\wsl$ 경로로 접근하면 된다기에 해봤더니 권한 오류가 발생한다. 이 경우는 IDE를 통해 해결되었다. intellij 계열이나 VScode 가 WSL 경로를 지원한다는듯 하다. 이후에 생긴 문제는 browsersync 사용 시 브라우저에서 접속이 안되는 것이었다. npm run watch 커맨드를 실행하면 브라우저 탭은 새로 열리는데 접속이 불가했다. 자동생성되는 3000번 포트가 ..
시원하게 설명 된 곳이 없어서 삽질하다 직접 쓴다. 다른 글들을 참고하여, Laravel과 webpack과 vue를 설치한다. [Laravel] resources/views/app.blade.php Laravel에서 view 가 있는 route는 얘가 다 한다고 보면 된다. /routes/web.php
기본적으로 라라벨은 위 커맨드 실행 시 app/ 디렉토리 아래 바로 model 파일을 생성한다. 개인적으로 용납할 수 없다. app/Models 아래에 model 파일을 생성하려면 php artisan make:model Models/ModelName 과 같이 해야 했는데,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해결 가능하다. 먼저 php artisan make:command ModelMakeCommand 를 실행해서 console command를 생성한다. 해당 파일의 내용을 아래 내용으로 덮어씌워, 프레임웍의 command를 override 시켜준다.
composer가 이렇게 메모리 먹는 하마인줄 몰랐다. 아래 커맨드를 실행하여 해결했다. 배포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경우 배포 대상 서버에서 실행한다. $ sudo /bin/dd if=/dev/zero of=/var/swap.1 bs=1M count=1024 $ sudo /sbin/mkswap /var/swap.1 $ sudo /sbin/swapon /var/swap.1 출처: https://github.com/composer/composer/issues/945#issuecomment-8552757
이전 글 (https://fils.tistory.com/812)에서 설명했던 Deployer가 최근 문제를 일으켰다. deployer는 배포 시 release 디렉토리 내에 자동으로 번호를 매긴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해당 디렉토리를 current 디렉토리로 symlink 설정하는 방식이다. 최근에 배포를 하려다 보니 이미 존재하는 마지막 번호 디렉토리에 배포를 시도하다 오류가 발생하는 일이 대부분이었다. 재미있는건 실패 후 재시도를 하면 배포가 됐다. 한참을 검색해서 찾아낸 원인은, slack 에 배포될 디렉토리를 미리 알리도록 했는데, 배포과정이 시작되기 전 {release_path} 변수를 미리 사용하면, 내부적으로 다음 배포 디렉토리가 이전에 사용 된 변수로 지정된다는 것이었다. 즉, 현재 배포 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