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android studio (5)
FILife
intelliJ 계열 IDEA에서 subversion 연동 시 ignore 되어야 할 항목들은 아래와 같다. gradle : 안드로이드 빌드 리소스build : ".idea : IDEA용 인덱싱 및 설정 파일들*.iml : ".DS_Store ( => for mac only) 출처: http://stackoverflow.com/a/16941872/4531618
안드로이드 강좌나 책을 보면 이미지를 전부 drawable에서 가져다 쓰는데, 막상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설치 해 보면 그 폴더는 비어있다. 해서 찾아보니, 커스텀 이미지는 모두 drawable에, 앱 아이콘만 mipmap 폴더에 넣는거라고 한다. 출처: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28065267/mipmap-vs-drawable-folders
xml 태그는 여는 태그와 닫는 태그로 구성되어 있는데, 만들어진 태그를 다른 태그로 변경하는 경우 두가지를 각각 수정 해 주어야 해서 다소 불편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양쪽 태그 중 한쪽을 수정 한 상태에서 커서를 이동시키지 않고 shift+F6을 눌러주면 짝이 되는 태그가 바로 변경 된다. 동일 제품군인 PhpStorm 등에서도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왜 이런지 모르겠지만 Android Studio에서 Button 객체를 추가하고 텍스트 값을 설정하면 전부 대문자로 표시된다. 레이아웃 xml에서 해당되는 버튼 태그 속성에 다음을 추가한다. android:textAllCaps="false" 출처: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24880388/cannot-lower-case-button-text-in-android-studio
이클립스의 ctrl+shift+O 를 통한 자동 import 기능은 편리하고 친숙하다. Android Studio의 경우에도 이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지만, 기본적으로 비활성화 되어있는 상태다. ctrl+alt+S (jetbrains의 IDE들은 공통적으로 같은 단축키가 사용 됨)을 눌러 설정으로 들어간다. 좌측 분류에서 IDE Settings > Editor > Auto Import 로 진입하면 Java 카테고리에 체크되지 않은 항목이 두 개 보인다. Optimize imports on the fly / Add unambigous imports on the fly 의 두 항목인데, 모두 체크 해 주면 활성화 된다. ctrl+shift+O 등의 단축키 입력 없이 왠만한 건 스스로 import를 추가 해 준다.